박사급 과학기술 연구인력 대학에 집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3:29
본문
Download : 110125023617_.jpg
연구보조원을 포함한 연구개발 인력에서도 여성 연구개발 인력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박사급 과학기술 연구인력 대학에 집중
순서





국내 박사급 과학기술 연구 인력이 대학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년 이후 여성 연구원의 연평균(average) 증가율은 12.0%로 남성 연구원 증가율(6.6%)보다 높았다.
이 같은 현상은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인력 연령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박사급 과학기술 연구인력 대학에 집중
설명
박사급 과학기술 연구인력 대학에 집중
국내 여성 연구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다. 반면에 기업체는 연구원 중 학사 학위자(12만1350명)가 가장 많았으며 박사 학위자(1만3961명)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24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내놓은 ‘2010 과학기술 통계백서’에 따르면 2009년 기준 국내 총 연구원 수는 전년 대비 2만3125명(7.7%) 증가한 32만3175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박사 연구원은 전년 대비 3036명 증가한 7만6480명으로 전체의 23.7%를 차지했다. 또 여성 연구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다. 2009년 여성 연구원 수는 전년 대비 4396명 증가한 5만1073명으로 전체 연구원의 15.8%를 차지했다. 기업체의 50대 연구원 비중은 3.4%(7162명)에 불과하지만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은 각각 20.3%(1만7936명), 17.2%(4190명)를 차지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
특히 이들 박사 연구원의 66.1%인 5만566명이 대학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사급 과학기술 연구인력 대학에 집중
다.
그는 또 “2000년 이후 박사 연구원의 증가율이 평균(average) 5.2%에 이른다”며 “박사급 고급 연구 인력이 대학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년연장을 비롯해 처우나 연구 environment(환경) 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교과부 측은 “정년이나 연구 활동 등을 고려할 때 기업체·연구소보다 대학이 안정적이라는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說明)했다.
레포트 > 기타
Download : 110125023617_.jpg( 19 )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원은 50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