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소리를 추적하는 차가운 여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8:13
본문
Download : 영혼의 소리를 추적하는 차가운 여행.hwp
작가는 ‘소리’야말로 자연과 인간¸ 그 모든 존재의 가장 깊은 곳에서 솟구쳐 올라오는 영혼이라고 인식한다. 소리는 그 아름다움의 잣대이다. 하지만 상관없다.
영혼의 소리를 추적하는 차가운 여행
,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영혼의 소리를 추적하는 차가운 여행.hwp( 42 )
작품의 핵심은 ‘소리’이다. 작품 속에서 ‘당신’은 ‘영혼의 산’이 어디에 있는지 끝내 알지 못한다. 제상(諸相)은 모두 허망하지만 상(相)이 없는 것 또한 허망한 법이니까. 그래서 작가는 인간의 소리가 듣고 싶다. “잘 생각해보면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goal)는 별로 중요하지 않으므로.” ‘영혼의 산’은 어차피 “아무 의미 없는 그림자들의 세계이며¸ 모호한 이미지만이 이어지는 얼음의 세계¸ 완전한 고독”일 터이므로.
중요한 것은 ‘내’가 선택한 여행길이 얼마나 아름다운가일 뿐이다. 이따금 안개 낀 원시림에서 길을 잃어버릴 때도 강물이 속삭이는 소리를 좇아 길을 찾아간다. 하지만 자연의 소리만으로는 어딘지 공허하다. 작가는 ‘소리’야말로 자연과 인간¸ 그 모든 존재의 가장 깊은 곳에서 솟구쳐 올라오는 영혼이라고 인식한다. 작품 속... , 영혼의 소리를 추적하는 차가운 여행자연과학레포트 ,



작품의 key point(핵심) 은 ‘소리’이다. 작품 속...
순서
설명
다. 작가는 ‘소리’야말로 자연과 인간¸ 그 모든 존재의 가장 깊은 곳에서 솟구쳐 올라오는 영혼이라고 인식한다. “음이 있어 언어가 있고/ 양이 있어 소리가 있으니/ 음과 양이 결합하여 인간이 탄생되었도다!/ 인간이 태어나자 목소리가 트였고/ 목소리가 트이자 노래가 나타났네/ 노래가 많아지니 노래 책이 만들어졌다네!” 삼천 년 전¸ 그렇게 만들어진 순수한 영혼의 노래는 모두 삼천 편. 유가(儒家)의 성현이라는 공자는 그중 삼백 편만을 걸러내어 『시경』이라는 유교의 경전을 만들고¸ 나머지는 모…(skip)
작품의 core은 ‘소리’이다. 그리하여 ‘나’는 언제나 나뭇잎을 두드리는 빗소리¸ 계곡 소나무 가지 사이로 구슬피 우는 바람 소리에 귀 기울이며 길을 걷는다. 신농가(神農架) 부근 원시림 마을에서 ‘나’는 우연히 윤리와 도덕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영혼의 소리를 듣고 감격과 흥분을 금치 못한다. 영혼의 소리가 들리는 여행길의 풍광은 참으로 아름답다. 우선 별다른 의미 없이 횡설수설 무질서하게 펼쳐지는 그 말소리라도 듣고 싶다. 내용보다도 소리가 존재한다는 그 자체가 중요하므로. 비록 무질서한 대화의 소란일지라도 그 속에서 ‘나’는 비로소 생명의 숨결을 느끼고 잠시나마 행복을 맛볼 수 있으므로.
‘나’는 자연히 민가 수집에도 깊은 관심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