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레이징 정의, 원리 및 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15:58
본문
Download : ◈ 브레이징 정의, 원리 및 이점.doc
자성이 있는 금속에서는 유도전류에 의한 가열이 주가 되며, 비자성의 금속에서는 과전류에 의한 가열이 주가 된다된다. 가열 코일은 부품에 따라서 적당한 형상과 용량이 사용된다된다.
(참고) 용어설명(explanation)
용가재(filler metal): 용착부를 만들기 위하여 녹여서 첨가하는 금속, 따라서 용접봉은 용가재에 속한다. 이 방법은 가열 시간이 짧고 작업이 용이하나, 국부 가열에 의한 변형이 다르기 쉽다.
용제(welding flux) : 용접을 할 때 산화물, 기타 해로운 물질을 용융 금속에서 분리하고 제거하기 위하여 쓰이는 것
용제 함유 와이어 전극(flux cored wire electrode) : 용접용 와이어나 파이프 모양으로 되어 있어 그내부에 아크의 안정화, 탈산등의 목적으로 용제가 가득차 있는 것
스페터(spatter)현상 : 아크용접에서 용접봉 또는 용융지에서 작은 입자의 용적…(생략(省略))
,기타,레포트






다.
레포트/기타
bra322
Download : ◈ 브레이징 정의, 원리 및 이점.doc( 11 )
bra322 , ◈ 브레이징 정의, 원리 및 이점기타레포트 ,
◈ 브레이징 정의, 원리 및 이점
설명
순서
⑹ 고주파 납땜
땜납과 용제를 삽입한 틈을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납땜법이다.
용극(consumable electrode) : 각종 아크 용접 및 아크 절단에서 아크중에서 아크 중에서 용융하여 소모되는 전극
용접금속(weld metal) : 용접부의 일부이며, 용접하는 동안 용융되었다가 응고된 금속
용접부(weld zone) : 용접 금속 및 그 근처를 포함한 부분의 총칭
용착부(weld metal zone) : 용접부 안에서 용접하는 동안에 용융 응고한 부분
용착금속(deposited metal) : 용접 작업에 의하여 용가재로부터 모재에 용착한 금속
용착비드(weld bead) : 용접을 할 때 1회의 패스(지나감)에 의하여 나타난 용착금속
용융(fusion) : 두 개의 금속을 용융하여 완전히 하나게 되게 하는 것
용융지(molten weld pool, puddle) : 아크 또는 불꽃 등의 열원 부근에서 금속의 일부가 용해하여 만들어진, 용융 금속이 고여 있는 곳으로 용가재(즉 용접봉)의 금속과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가 같이 녹아 용융지를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