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工學(공학) test(실험) -고유 진동수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3:20본문
Download : 기계공학실험-고유 진동수 측정.hwp
진동계가 의 외력을 받아서 진동을 할 때 어느 한 각속도에서 다른 각속도와 비교 할 때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것을 observe 할 수 있다.
-1) 2) 3) 실험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Download : 기계공학실험-고유 진동수 측정.hwp( 80 )
결과 및 토론
기계工學(공학) test(실험) -고유 진동수 측정(測定)
-4) 실험





설명
다. 또한 길이가 줄어들수록 1차 고유진동수가 커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고유 진동수로 진동계가 진동하는 현상을 공명이라고 한다. 자유진동에서의 고유진동수인 18Hz보다 큰 값이다. 고유 진동수로 진동계가 진동하는 현상을 공명이라고 한다. 이때의 진동수를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라고 한다. 그 결과 19.5Hz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기계공학실험,고유진동수측정,진동수,진동
16Hz부터 22Hz까지 0.5Hz씩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 19.5Hz에서 의 값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19.3Hz부터 19.7Hz까지 0.1Hz씩 증가시키면서 측정을 하였다. 이 주파수는 진동계에서 하나의 값을 가진다. 이는 위에서 사용한 식을 봐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아 그리고 상식적으로 길이가 짧을 경우에 진동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예측 가능하므로 위의 실험결과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었다.
순서
4)실험을 진행한 결과 19.5Hz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때의 진동수를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라고 한다. () 실험결과가 이론(理論)적인 결과와는 다른 이유는 두 가지 정도로 추측해 볼 수 있다아 우선 힘을 가해주는 부분 (스피커와 bar를 연결해주는 부분)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라고 볼 수 있다아 단순히 주파수에 맞는 힘만을 전해주어야 하지만 스피커와 bar를 확실히 연결하기 위해 강하게 고정시킨 것이 약간의 방해가 되었을 수 있다아 (그 부분이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작용하는 등의 방해를 받았을 수 있다아) 또한 두 번째 추측은 bar에 연결된 센서와 전선에 의한 오차이다.
위 실험들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E (modulus of elastisity)를 구해본 결과 average(평균) 이 나왔다. 그런데 이론(理論)적으로는 자유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비해 강제진동의 고유진동수가 더 작다. 이 주파수는 진동계에서 하나의 값을 가진다.
진동계가 의 외력을 받아서 진동을 할 때 어느 한 각속도에서 다른 각속도와 비교 할 때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