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pay.co.kr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 unipay2 | unipay.co.kr report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 unipay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unipay2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20:18

본문




Download :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hwp




이러한 제도적 기능분화는 전 부처의 행정기획을 종합조정할 수 있다 계획의 집행과 평가를 분리시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등의 장점(長點)이 있기도 했지만, 기본운영계획이 예산과 분리되어 유명무실해지고 평가의 결과가 차기중장기계획 수립에 환류(feedback)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경제기획원에서는 심사分析(분석)국을 신설하여 동 업무를 관장한 바 있다 이로써 최소한 理論상으로는 연차별 기획기능이 5 개년계획 및 예산의 수립기능과 보다 밀접한 연계를 유지할 수 있는 조직편제를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가장 큰 문제가되는점 은 기본운영계획제도가 선예산 후기획식으로 운용되어 별 실효성이 없어 형식적으로 작성되어 왔다는 점이다. 원래의 취지대로 하면 기본운영계획이 수립되고 난 다음에 그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여야만 양자간에 통합을 기하고 기획의 실효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의 운영實態를 보면 담당기구가 이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본운영계획이 예산편성에 거의 반영이 안 되고 오히려 선후가 뒤바꿔 채 기획이 예산을 사후적으로 합리화시켜 주는 형편이었다.
기구개편을 계기로 政府(정부)는 형식적으로 운영되어 왔던 기본운영계획제도를 주요 업무계획제도로 대치하여 1982년부터 적용하기 처음 하였다.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경영경제레포트 ,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 배경과 의의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Download :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hwp( 18 )


[주요업무계획]%20주요업무계획의%20배경과%20의의_hwp_01.gif [주요업무계획]%20주요업무계획의%20배경과%20의의_hwp_02.gif




설명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주요업무계획

I. 배경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거쳐 우리나라의 중앙기획기구는 경제기획원에서 5개년계획의 수립집행을 관장하고 국무총리 기획조정실에서 기본운영계획과 심사分析(분석)을 관장하는 방식으로 이원화된 체제를 유지해 왔다. 이 주요 업무계획은 각 중앙행정기관 및 서울특별시…(To be continued )



[주요업무계획] 주요업무계획의 배경과 의의
주요업무계획,주요업무계획,배경과,의의,경영경제,레포트
다.

II. 의의

주요 업무계획이란 각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다음해에 시행할 주요 시책과 예산사업을 제시한 계획을 말한다. 최종기본운영계획은 국회에서 심의확정된 예산에 맞추어 작성하였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다가 1981년의 대족적인 政府(정부)조직정비사업으로 국무총리 기획조정실이 폐쇄되면서 기본운영계획 및 심사分析(분석)기능은 경제기획원으로 이관되었다.
전체 6,63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unipay.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