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성공 스토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21:01본문
Download : CGV 성공 스토리.hwp
마케팅 서비스에서 그 해답을 찾다.
박동호사장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사업concept(개념)은 100만 명을 1번 보게 하는 것이 아니라 20만 명을 5번 보게 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마침내 박동호 사장은 멀티플렉스 극장에서 그 해답을 찾게 되었다.
원래 박동호 사장(現 CJ엔터테인먼트 대표)은 제일제당의 육 가공 사업부에서 10년 이상 관련업무만 해왔던 인물이었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설계 시 기존 문제점(問題點)을 충분히 반영하여 유리 칸막이 형태의 매표소 타입에서 호텔 프론트 타입으로 변경하여 고객과 눈높이를 맞추었으며, 최첨단 음향 및 영사실, 넓고 편안한 좌석설비, 스타디움 식…(skip)
순서
설명
CGV 성공 스토리
다. 기존의 한국극장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단일 영화관의 가장 큰 문제점(問題點)은 영화 선택의 좁은 폭과 앞뒤거리 협소로 인한 시야 가림, 불편한 좌석, 출입혼잡, 그리고 좁고 비위생적인 화장실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멀티플렉스 극장인 CGV의 성공 요인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그가 불모지나 다름 없었던 제일제당 내부의 극장사업부를 맡게 된 배경에는 그의 기획력과 관리 능력에 대한 그룹차원의 강한 신뢰가 있었다. 창의와도전으로 , CGV 성공 스토리경영경제레포트 ,
창의와도전으로
Download : CGV 성공 스토리.hwp( 94 )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멀티플렉스 극장인 CGV의 성공 요인을 다양한 각도에서 analysis(분석) 한 리포트입니다. 하지만 당시 가장 앞서 있던 미국의 극장산업은 과다설비로 인한 공급과잉으로 인해 TOP10의 멀티플렉스 극장 중 대부분이 도산의 위기를 맞고 있었으며, 이것이 곧 M&A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보면서 서비스와 마케팅의 중요성을 새삼 실감하게 되었다.
해외 극장산업의 동향과 다양한 가능성을 살펴본 후 국내에 복귀한 박동호 사장은 우선 시설 측면에 있어 대대적인 개편에 들어갔다. 95년 이후 日本(일본), 미국, 유럽, 호주 등의 100여 개의 극장을 직접 둘러보며 현장 학습을 충실히 해나갔으며, 극장 사업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기존의 극장이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이미지를 바꿔 버릴 수 있는 방법을 동시에 찾기 위해 고군 분투하였다. 이는 곧 극장산업이 마케팅과 서비스 없이는 절대 불가능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내 영화 극장산업의 한계를 직시한 박동호 사장은 열악한 environment(환경) 을 바꿔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해외에서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